노나라 환공의 아들이자 노나라 장공의 형제인 경보, 숙아, 계우의 후손들을 삼환이라고 한다.
노나라 장공은 자신이 죽을 때가 되자 자신의 아들 공자 반을 왕으로 세울 마음이었는데, 이에 대해서 동생들인 숙아와 계우에게 물었다. 숙아는 경보를 왕위에 올리는 것이 좋다고 말했고, 계우는 죽음으로 공자 반을 섬기겠다고 말했다. 계우는 숙아를 유인하여 건물안에 가둔뒤 지금 자살한다면 당신의 후손으로 하여금 가문을 잇게해줄 것이고, 자살하지 않으면 당신도 살해당하고 가문도 끝이라고 협박했다. 숙아는 자살했다.
그리하여 계우가 공자 반을 왕위에 올리자, 서장자 경보가 공자 반을 죽였다. 계우는 장공의 아들 신을 데리고 진나라로 달아났다. 계우가 없는 사이 경보가 장공의 다른 아들을 왕위에 올리니 노나라 민공이다. 그러나 경보는 노나라 민공과 내분이 생겨 민공을 죽였다. 여론은 급격히 악화되었고 경보는 노나라의 권력을 내려놓고 도망치게 되었다. 이때 계우가 다시 노나라에 돌아와서 경보를 자살시키고 공자 신을 왕위에 올리니 노나라 희공이다.
계우의 계씨 가문은 이후에도 계속 권력을 장악하여, 노나라 공실은 유명무실해지고 모든 것이 계씨의 당주에 의해서 결정되게 된다. 노나라 소공은 계씨와의 갈등때문에 나라에서 쫓겨나기까지 했다. 계씨는 예법에 맞지않는 화려한 의식을 거행하고 사람을 제물로 쓰는데다 군주보다도 권위가 강하여 노나라 사람이었던 공자의 비판대상이 되었다. 삼환중에서 가장 세력이 강한 집안이었다. 진나라와 제나라사이의 전쟁에 참여했던 계손행부등이 있다.
계우는 숙아와의 약속을 지켜서 그의 세력과 가문을 보존시켜 주었기에, 숙씨도 삼환의 일원으로 노나라 정권을 분담하게 되었다. 숙손씨중에서는 노나라의 외교분야를 담당했던 이들이 꽤 있다. 적족을 죽였던 숙손득신,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던 숙손표, 숙손표의 아들 숙손소자등이 있다.
경부의 후손은 중손씨인데, 이후 맹손으로 고쳐서 맹손씨라고도 한다. 노나라의 대부였던 중손멸 등이 있다.
'춘추전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대멸명澹臺滅明 (0) | 2020.12.16 |
---|---|
순식 荀息 (0) | 2020.12.16 |
진영공晉 靈公과 동호직필董狐直筆 (0) | 2020.12.16 |
기자箕子 (0) | 2020.12.15 |
은나라가 망하고 주나라가 일어서다 (0) | 2020.12.15 |
상앙과 자산 (0) | 2020.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