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11권은 광해군일기이다. 광해군은 인조 반정으로 인해서 왕의 자리에서 쫓겨났기 때문에 왕조실록이 아니라 광해군 일기다. 광해군은 앞선 선조실록에서 분조를 이끌면서 개고생하며 세자로서 임진왜란 내내 부지런히 일했다. 그러나 돌아온 것은 아버지 선조의 권력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견제뿐이었다. 아니 세자로 임명해 놓고 분조까지 이끌게 해서 고생시켜 놓고는 이러기가 어디있나 싶기도 하다.
놀랍게도 아버지가 광해군보다도 어린 아내를 맞이한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광해군이 느꼈을 감정은 참담했을 것이다. 이 어린 아내에게서 영창대군이 태어나면서 위기를 맞는 광해군. 주변 사람들도 슬슬 광해군이 왕이 되지 못하는건 아닐까 걱정한다. 이럴 거면 분조 임명을 하질 말던가, 임명을 했으면 정통성을 흔들진 말아야 하는 것 아닌가. 의외로 선조가 일찍 죽어 왕위에 오른다.
광해군은 자신의 세자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옥사를 자주 일으킨다. 그 옥사는 대부분 역모에 관한 것으로 광해군이 직접 주관한 것들이다. 그런데 광해군이 옥사를 일으켜서 사람을 쳐도 광해군의 권력이 강해지지 않았다. 오히려 광해군에 의해 옥사가 자주 일어나자 옥사를 지지하는 강경파들의 권력이 지나치게 강해지고 만다.
옥사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했으나 오히려 대북 강경파 이이첨의 권력만 엄청나게 강해지고 만 것이다. 허망한 결과였다. 결국 광해군은 옥사를 줄이고 밀고에 대해 집중을 덜하며 국면을 전환하려 해보지만 서인에 의해 반정이 일어난다.
대북 강경파들뿐 아닌 소북의 일부도 정권을 구성하고 있었지만, 결국엔 윤선도의 상소처럼 서인 세력에 의해 정권은 무너지고 광해군은 치욕을 당하며 제주도에서 죽는다.
이 당시에는 유난히 많은 옥사가 발생한다. 광해군이 의도적으로 이것을 조장했던 것이다. 한계가 있던 개혁, 무당파 3정승(이원익,이항복,이덕형)등의 모습이 주목할 만 하다.
'책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시백의 조선왕조 실록 14 숙종실록 (1) | 2021.06.10 |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3 효종 현종 실록 (0) | 2021.06.10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2 인조실록 (0) | 2021.06.10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0 선조실록 (0) | 2021.06.10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9 인종 명종실록 (0) | 2021.06.10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8 중종실록 (0) | 202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