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의 편찬
사람은 누구나 한 번 죽지만 어떤 죽음은 태산보다 무겁고 어떤 죽음은 새털보다 가볍다.
죽음을 사용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마천, 보임안서
사마천(기원전 145~ 기원전 86)은 중국 한나라의 역사가이다. 전한 무제때 사람으로, 매우 비참한 형벌을 당하고도 역사에 남을 기념비적인 업적을 남긴 사람으로 유명하다.
사마천의 아버지는 사마담으로, 천문을 살피고 역사를 쓰는 직위인 태사령을 지냈다. 어느날 사마담이 제사 의식인 봉선 의식에 참석하는 관리 명단에서 제외되고 만다. 봉선은 하늘에 거행하는 제사로, 성군임을 내심 자부하는 군주들이 국가의 위엄을 차리는 역사적인 행사였다. 사마담은 역사를 관장하는 관리로써 당연히 참석할 줄 알았는데, 배제되어 대기하라는 명령을 받자 시름시름 앓다가 죽고 만다. 죽으면서 사마담은 사마천에게 자신이 집필하던 역사서를 완성해달라는 말을 남긴다. 이리하여 사마천은 아버지의 지위를 계승하여 역사서를 쓰게 된다.
그런데 사마천의 생명을 위협하는 끔찍한 일이 발생하게 된다. 당시 한나라는 북쪽에 위치한 기마민족인 흉노족과 대치중이었고. 무제는 장군 이릉에게 북쪽으로 나아가 적을 감시하라고 명했다. 그러나 장군 이릉이 흉노족 본군과 마주쳐, 5천의 보병으로 8만의 흉노족과 싸우다 항복하는 일이 벌어졌다. 무제는 분노했지만, 사마천은 이릉과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사이였음에도, 무제 앞에서 이릉을 당당하게 변호한다. 분노한 무제는 사마천에게 죽음을 당하거나, 궁형(고자가 되는 형벌)을 당하라고 명했고, 사마천은 매우 치욕스럽게 간주된 궁형을 받는다.
창자가 뒤틀리는 고통을 당했지만 사마천은 자신이 해오던 역사서 집필을 마저 하기로 마음먹는다. 그는 중국 고대 하나라의 역사서부터 은나라, 주나라, 제후국가의 난립과 진나라의 통일, 유방과 항우의 초한전쟁과 한나라의 역사 등 중국의 모든 역사를 역사서에 포함시켰다. 그는 역사를 연도순으로 적는 편년체가 아닌 황제의 역사는 <본기>에, 제후와 역사는 <세가>에, 일반 인물의 역사와 주제별 역사는 <열전>에 편집하는 기전체로 역사를 서술하였다. 이 책이 <사기>이다.
그는 항우와 여후를 높게 평가하여 황제의 기록인 <본기>에 그들이 기록을 넣었고, 군주의 신하였고 제후라고 볼 수 없는 공자와 진나라 말 농민봉기의 주역인 진섭의 기록은 제후의 기록인 <세가>에 넣었다. 또한 제후였지만 말년에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한신은 <열전>에 넣었다. 초한지의 진평이나 숙손통과 같은 처세술에 뛰어난 사람에 대해 호의적인 평을 내리기도 했다.
사마천이 죽은 이후 저소손이라는 학자가 사기의 일부 내용을 편집, 복원하였다. 이후의 중국 역사서는 사기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