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제국 진나라의 법가 사상을 이룩한 것은 상앙이라는 정치가다. 그는 법을 통해 나라를 다스릴 것을 주장했는데, 그 내용이 현대의 법과는 다르다. 대개 춘추전국시대의 법가 사상들은 현대 민주주의의 법치와는 전혀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현대의 법치가 인권 보장과 절차적 안정을 중시하는 반면, 이 시기의 법치는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데 사용되는 도구의 느낌이 강하다.
상앙은 원래 진나라와 상관이 없는 다른 나라 출신이다. 하지만 그는 진나라에 들어가서 자신의 법가 사상을 유세하여 고관대작이 되었다. 그리고 자신이 가진 사상을 실제로 실행하여 엄격한 법에 따라서 나라를 다스렸다. 상앙을 등용한 왕이 죽자 상앙은 자신의 엄격한 법치를 싫어한 이들에 의해 살해당했는데, 그럼에도 진나라는 법가 사상 자체를 포기하지 않고 그 제도를 유지하였다. <사기 상군 열전>을 보면 상앙의 일생을 살펴볼 수 있다. <상군서>라는 책을 살펴보면 상앙의 구체적인 사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상앙은 가벼운 죄를 가볍게 처벌하고, 무거운 죄를 무겁게 처벌하면 가벼운 죄를 짓는 것을 막을 수 없기에 가벼운 죄도 무겁게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상과 벌은 1:9면 적당하고, 상은 전쟁과 농업에 관한 것에 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연좌제의 도입도 긍정했다. 상앙의 주장은 범죄와 형벌의 비례성을 무시한 주장이다. 상앙은 형벌의 위하효과(겁을 주어서 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극단적으로 강조하였다. 연좌제 처벌은 감시와 공포를 극단화하는 장치중 하나이다.
또한 상앙은 사람들에게 그들이 좋아해주는 것을 해주면 그들은 나태해지고, 좋아하는 것을 못하게 하면 그걸 조심하기 때문에 차라리 그들에게 좋은 일이 된다고 주장하여 인간의 자제력과 자율성을 의심했다. 그리고 간사한 사람을 등용할 것을 주장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선한 사람은 선으로 말미암아 다른 사람의 죄를 덮고, 간사한 사람은 자신에겐 선하고 남은 감시하기 때문에 법 제도의 운용에 있어서는 간사한 사람이 필요하다. 따라서 선한 사람 대신 간사한 사람을 등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앙은 나라의 근본을 농업으로 보았다. 백성들이 학문을 배우지 못하게 하여 농사에만 집중하고 상업을 못하게 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잡다한 학문도 못 배우게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계몽이 아닌 우민화를 통한 부국강병책을 주장한 것이다. 독특한 것은 하층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모두의 우민화를 꾀하여 지배계층인 대부의 자제들도 돌아다니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보았다는 점이다.
상앙의 사상을 요약하자면 ‘자유가 박탈된 우민들을 농업과 전쟁에 힘쓰게 하되, 그 다스림에 있어서 법을 통해 감시와 공포를 느끼도록 하자’는 것이다. 다양한 사상을 금지 대상으로 보니 당연히 획일화 될 수밖에 없고, 우민화 정책을 실시하니 건전한 여론이라고 할 것이 없었다. 거주이전의 자유나 직업선택의 자유는 없었다. 나라에서 장려하는 직업은 농민, 군인, 공무원 뿐이었다.
이러한 법가 사상은 나라를 다스리는 도구로서 군주에게 활용되었다. 여론의 형성을 방해하는 정책으로 다른 모든 존재가 자신의 권력에 대해 왈가왈부 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자신에게 충성스럽게 싸우고 농사를 짓는 사람을 양성하기에도 좋았다.
하지만 피지배층의 고통이나 분노에는 별 배려가 없는 정책이었다. 때문에 이런 진나라의 혹독한 법치는 상앙이 죽고 난 후에도 진나라의 기틀이 되었지만 천하통일 후에는 백성들의 민심을 잃는 원인이 되었다.